전국 홈플러스 매장 23곳이 문을 닫는다는 소식이 발표되었습니다. 단순한 점포 정리가 아니라, 기업회생 절차 속에서 살아남기 위한 긴급 생존전략이자 대형마트 산업의 구조 변화를 상징하는 사건입니다. 이번 기회를 놓치면 앞으로의 유통 시장 변화를 읽기 힘들 수 있습니다. 폐점 사유와 영향을 지금 바로 살펴보세요.
대규모 구조조정과 폐점 배경
홈플러스는 2025년 3월 기업회생 절차(워크아웃)에 돌입한 이후 5개월 동안 인수자를 찾지 못했습니다. 매출 대비 높은 유지비를 감당하기 어려운 매장, 특히 임대료 인하 협상에 실패한 임대 점포를 중심으로 폐점 결정을 내렸습니다. 임대료 30~50% 인하 시도도 무산되며, 경영 부담을 줄이기 위해 15개 매장을 순차적으로 문 닫기로 했습니다. 노조는 이를 청산 수순의 전조로 보고 강하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폐점 지점 리스트와 일정
이번 발표에 포함된 폐점 지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 지역 | 지점명 | 비고 |
---|---|---|---|
순차 폐점 15곳 | 서울 | 시흥점, 가양점, 일산점 | 2025년 5월까지 |
인천·경기 | 계산점, 안산고잔점, 수원원천점, 화성동탄점 | ||
충청 | 천안신방점 | ||
대전 | 문화점 | ||
전북 | 전주완산점 | ||
대구 | 동촌점 | ||
부산 | 장림점, 감만점 | ||
울산 | 북구점, 남구점 | ||
회생 전 폐점 예정 8곳 | 전국 | 안산선부점, 동청주점, 부천상동점, 동대문점, 부천소사점, 순천풍덕점, 신내점, 부산반여점 | 폐점 예정 |
지역 상권과 소비자 생활 변화
대형마트 폐점은 단순한 쇼핑 편의성 저하를 넘어 지역 경제에 직격탄을 날립니다. 매장 내 입점한 소상공인, 푸드코트, 서비스 업체들은 계약 종료로 매출 감소를 겪게 됩니다. 주민들은 장보기 패턴을 바꾸어야 하고, 인근 상권에도 소비 흐름 변화가 발생합니다. 특히 대체 마트가 부족한 지방 중소도시일수록 충격은 더 큽니다.
향후 전망과 소비자 대응 전략
홈플러스는 자가 소유 점포도 추가 폐점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습니다. 오프라인 유통 시장 축소 흐름 속에서 소비자는 온라인 장보기, 지역 마트, 전통시장 등 대체 쇼핑 채널을 확보해야 합니다. 또한 성수기 시즌에는 재고 확보 차질이 우려되므로, 필수 생필품은 미리 구매하는 것이 좋습니다. 변화에 빠르게 대응하는 것이 향후 생활 안정의 핵심입니다.
결론
홈플러스 23개 매장 폐점은 단순한 기업 조정이 아니라 유통업계의 구조 변화를 보여주는 경고등입니다. 기업과 소비자 모두에게 위기 대응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며, 변화 속에서 새로운 기회를 찾는 것이 앞으로의 과제입니다.